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정신역동적 관점에 대해-2

by 연블루온도 2024. 5. 16.

■ 방어기제 : 불안적인 요소는 자아에게 닥친 위험을 알리는 신호이다. 자아는 충동적으로 쾌락을 추구하는 원초아와 완벽성을 추구하는 초자아와 갈등을 감소시키려고 노력하게 된다. 불안한 것을 피하려는 것이 방어기제를 나타낸다. 다양한 방어기제가 작동되는 2가지 특성이 있다. 현실 부정과 왜곡이다. 

- 억압 : 자아가 위협적인 내용을 의식 밖으로 밀어내거나, 자료 의식하지 않으려는 적극적 노력이다. 불편함이나 고통을 가져다주는 존재에 대한 무의식적 부정
- 반동형성 : 개인의 내면에서 수용할 수 없는 충동을 정반대로 적극적으로 표현
- 퇴행 : 위협적인 현실에 직면해 덜 불안함을 느끼는 것
- 합리화 : 스스로의 행동을 그럴듯하게 만듦. 핑계로 받아들여질 수 있게 행동을 재해석하는 것
- 승화 : 전위의 한 형태.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충동으로 대체되는 것
- 투사 : 다른 사람이 가지고 있다고 원인을 돌리는 것
- 부정 : 현실에서 일어났던 위협적이거나 외상적인 사건을 받아들이지 않고 거절하는 것
- 전위 : 원초아의 충동을 표현하기 부적절하면 다른 대상으로 대체하는 것


[성격 평가기법]
환자들의 호소하거나 증상이 있는 문제 이면에서 심층적으로 작동하는 무의식의 내용을 밝히는 작업이 집중적으로 사용되었고, 주요한 기법은 꿈 분석과 자유연상이다.
*꿈 분석(dream analysis) 자유연상(free association)


- 꿈 분석 : 환자의 무의식의 비밀을 벗기기 위해 사용한 기법이다. 꿈 소망 충족은 개인에게 수용될 수 없는 무의식적 동기로 상징적인 형태로 사람의 억압된 갈등, 욕망, 공포가 있다. 꿈에서 나타난 상징의 숨겨진 의미를 성적 충동과 관련해 찾으려고 한다.
*Dream is the royal road to the unconscious "꿈은 무의식에 이르는 왕도이다."

- 자유연상 : 환자가 전혀 자기검열 없이 마음에 떠오르는 모든 기억이나 생각을 치료자에게 보고하는 기법. 떠오르는 생각이 사소하고 중요하지 않고 비논리적이라도 그대로 모든 생각을 치료자에게 보고해야 한다. 치료자는 자유연상을 사용해 보통 환자가 겪는 문제가 인생 초기에 경험했던 외상 경험과 관련된 것을 찾게 된다. 


[성격 이론의 적용]
범위를 넓게 사람에 대해 이해 및 심리 치료 방법으로 적용되어 문제 해결에 사용된다. 정신분석의 목표는 1차적으로 중요한 무의식적 자료를 의식으로 가져오게 된다. 무의식적 자료를 회상해서 재해석하도록 현재 생활이 보다 만족스럽게 되게 만든다. 정신분석의 일반적 단계 1. 시작 단계 2. 전이 발달단계 3. 훈습 4. 전이 해결을 통해 환자의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전이는 내담자가 인생 초기의 의미 있는 대상과의 관계에서 발생해도 의식화되지 못하고 억압된 채 무의식에 묻혔던 생각과 감정과 욕망을 치료자에게 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과정 후에 저항이 출현하게 되는데 환자가 무의식에 묻어두던 고통스러운 기억을 드러내는걸 꺼려하게 된다. 이는 변화에 대한 두려움과 무의식적 소망과 욕구의 충족 유지며, 무의식적 갈등에 직면하기를 피하는 것이다. 

■생활 양식
사람은 완전성이나 우월성 같은 한 가지 최종적인 목표를 가지고 있지만 목표를 향한 개인들의 구체적인 행동들은 다양하다.  어떤 방법으로 보상하게끔 만든다고 가정한다. 개인의 행동은 자기의 신체적 한계점을 의식함으로써 형성되는 것과 열등감과 생활 양식을 보상하기 위한 행동이다. 개인의 독특한 생활양식은 외부 세계에 대해 전반적인 태도를 결정과 성격 구조를 일생에 걸쳐 일관성으로 유지된다. 인생 과제는 모두 같은 상황이나 같은 문제의 여러 면을 나타내는데, 우리가 생을 유지하고 진전시키는 이유이다. 사회적 관심과 활동 수준에 따른 생활양식을 네 가지로 나타난다.
*회피형 the avoiding type, 지배형 the ruling type, 사회적 유용형  the socially useful type, 기생형 the getting type

- 회피형 : 매사 소극적이고 부정적인 태도를 가진다. 자신감이 없고 적극적인 것을 피한다. 마냥 도전하지 않고 불평만 하기 때문에 사회적 관심이 떨어져 고립된다. 자녀를 교육할 때 기를 꺾어 버리기에 회피형으로 갖게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부모는 관심을 갖고 매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태도를 자녀에게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 지배형 : 부모가 지배하고 통제하는 독재형으로 자녀를 양육할 때 나타나는데, 상대방에게 지배와 복종을 강요하는 생활양식이 적절하지 않다는 것이다. 오랫동안 가부장적 유교문화와 가족문화를 중시했기에 아버지의 힘으로 휘둘리는 경우가 많아졌다. 부모의 힘을 통해 자녀를 통제하고 지배할 때 나타난다.

- 사회적 유용형 : 높은 사회적 관심과 높은 활동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런 유형은 긍정적인 태도를 가진 성숙한 사람으로 심리적으로 건강한 사람의 표본이 된다. 이들은 타인의 욕구를 동시에 충족시키며, 인생 과제를 완수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과 협동한다. 개인적인 용기와 타인에게 공헌하려는 의지가 필수적임을 인식하고 있다.

- 기생형 : 특징은 의존성이며, 부모가 자녀를 지나치게 과잉보호할 때 나타나는데 이는 독립심을 길러주지 못하게 된다.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인생을 개척할 수 있는 되게 어렵게 된다. 자신이 노력해서 성취할 수 있는 사람을 원한다. 스스로 어떤 일을 할 수 있도록 조력하는 게 필요하다. 가장 큰 것으로 자본주의 사회에서 부모의 재산만 바라보고 많은 사람들이 기생형 사람이라 할 수 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역동적 관점 -4-  (0) 2024.06.24
정신역동적 관점 -3-  (0) 2024.05.26
성격에 대한 이론 -2 & 정신역동적 관점에 대해-1  (0) 2024.05.10
성격에 대한 이론 -1  (0) 2024.05.09
심리학 역사에 대해 -3-  (1) 2024.04.30